PF(Project Financing) 전문가
신봉석(IBK 투자증권 차장/공인회계사)
<학력 및 자격증>
– `06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졸업, 부동산학 석사
– `01 CFA 1차 합격
– `99 연세대 경영학과 졸업
– `98 공인회계사
<주요 업무 경력>
– 現在 IBK 투자증권, IB사업부 기업금융팀
* PF, ABS 담당, 기업금융관련 업무
– 딜로이트안진회계법인
* 부동산 전반에 관련된 업무(PF 금융주간 업무), ABS 실사, 해외프로젝트 금융주선
– 회계법인 새시대:
* 부동산/SOC 사업성 검토, SOC 사업 실사, 부실채권평가, ABS 실사, 창투사 해산 관련 업무
감사 및 가치평가, 회계 감사, 세무 자문
– (주)한국기업평가:
* 부동산/SOC 사업성 검토, 은행/금융지주 신용평가, ABS/SOC 채권 평가, 벤처기업 신용평가
– 안건회계법인
* 회계감사, 실사, 기업가치평가
“새로운 금융기법 및 금융상품구조 개발을 통한 부동산개발 자금조달은 천문학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부동산과 파생상품을 결합한 새로운 금융상품 개발은 부동산금융 분야의 궁극적 도전 과제
안녕하십니까?
저는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현재 IBK투자증권에 근무하고 있는 신봉석 차장이라고 합니다. 현재 IBK투자증권에서는 부동산PF 업무와 Structure finance 업무를 맡아 진행하고 있습니다.
대학교 재학 중 공인회계사 시험에 합격하여 회계법인에 근무하다 신용평가회사로 이직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 시점이 IMF 구제금융 시기로 무디스, S&P 등 신용평가회사가 유명했던 시절이라 국내 3대 평가회사 중의 한곳으로 이직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이직 후 제가 처음으로 당당했던 업무가 ABS신용평가 업무로서 ABS, ABCP, MBS, CBO, CDO, 매출채권 유동화, 부실채권(NPL) 유동화, 카드채권유동화 등 다양한 유동화 업무를 수행하였습니다.
이와 함께 부동산 ABS 신용평가도 진행하였는데, 이것이 제가 부동산과 인연을 맺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 후 부동산 금융에 대해 좀더 구체적인 공부를 하기 위하여 부동산사업성검토를 전담하는 부동산PF팀으로 옮겼습니다.
부동산 관련 법규, 부동산개발에 따른 위험, 현금흐름 분석 등 부동산과 개발사업을 직접 경험하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저는 구조화금융(S/F) 기법을 통한 자금조달 방법과 부동산PF팀에서 배운 부동산개발사업을 접목시킬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본격적으로 부동산 금융 시장에 뛰어들게 되었으며, 부동산과 Financing에 대한 좀더 구체적인 학습과 인맥확대를 위하여 건국대학교 부동산 대학원에 진학하였으며, 이 곳에서 여러 업종에 종사하시고 계시는 우수한 분들과의 교류를 통해 좀더 시야를 넓히게 되었습니다.
Deloitte 안진회계법인 FAS본부로 이직한 저는 본격적으로 부동산과 Financing을 결합하여 상품을 만들어내는 단계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현재 국내에는 간접자산운용업법에 의한 부동산펀드, 부동산투자회사법에 의한 Reits 등 다양한 투자기법이 사용이 허용되어 있으나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어서 아쉬운 점이 한 두 가지가 아닙니다.
저는 현재 미국발 금융위기로 인한 자금시장 경색으로 은행권 대출이 어려운 현 상황에서, 부동산펀드와 Reits를 이용하여 부동산 개발사업을 활성화 시키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Reits를 상장시켜 자금조달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수익성이 뛰어난 부동산 개발 사업의 경우에는 자금경색 하에서도 개발 자금 조달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판단됩니다.
저는 국내 부동산 Financing 분야가 시장이 아주 넓고 전망이 밝다고 생각됩니다.
현존하는 금융상품을 이용한 Financing 뿐만 아니라 새로운 금융상품과 자금조달구조 개발을 통한 새로운 부동산 개발금융 기법 개발 시 창출할 수 있는 부가가치가 엄청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단순 PF에 의한 수수료가 한 건에 5~10억 불과하나, 새로운 금융기법과 금융구조를 만들어 낸다면 그로 인해 창출될 수 있는 부가가치는 천문학적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아직 감정평가사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지는 않지만, 제가 하고 있는 일에 대하여 조금이라도 쉽게 접근하기 위해서는 감정평가사 자격증 취득을 하면 유리합니다.
부동산개발업에 대한 이해를 제대로 하려면 부동산관계법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그런데 감정평가사 시험이 바로 회계학, 경제학, 민법, 부동산관계법규에 대한 시험이므로 이 자격증을 보유하게 되면 아주 유리한 고지를 점령할 수 있겠지요.
더 나아가 증권회사나 신용평가회사, 은행 등에서 Structure Financing에 대하여 학습할 수 있으면 금상첨화입니다.
그리고 금융공학을 통한 파생상품에 대한 이해가 제대로 갖춰질 경우, 이 분야에서 궁극적으로 도전해 볼만한 가치가 있는 부동산과 파생상품을 통한 새로운 금융상품 개발에 도전해 보시라고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직장생활 10년 항상 준비하고 노력한 자에게는 기회가 오는 것 같습니다.
여러분에게도 시간은 기다려주지 않으며 준비된 자에게만 기회가 온다는 사실을 알고 현재에 최선을 다해 준비하는 삶을 사셨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