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

| 과목명 | 금융계량경제학입문 I |
| 난이도 | 초중급 |
| 강의형태 | 판서형 강의 동영상 |
| 수강 대상 | 통계학에 대한 기초 지식이 있는 애널리스트 |
| 수강 기간 | 12주 –> 52주(수강기간 연장 행사) |
| 수강 분량 | 30분 강의 60회 |
| 주요 내용 | 금융시계열에 적합한 회귀분석기법을 체계적으로 설명 |
| 수강료 | 220,000원(정가)–>110,000원(50% 할인 행사) |
| 강의 담당 | 한창호 |
| 순서 | 강의 주제 |
| 1 부 | 금융계량경제학 정의 및 용도
선형회귀모형 가설검증 |
| 2 부 | 다중선형회귀모형
다중가설검증 선형회귀모형의 주요 가정과 의미 |
| 3 부 | 다중공선성
구조변화검증 표본분할 계량모형 설계 철학 |
| 순서 | 강의명 |
| 1 | 금융계량경제학이란? |
| 2 | 데이터 종류 |
| 3 | 수익률 모형 |
| 4 | 계량모형 구축 절차 |
| 5 | 회귀분석모형의 정의 |
| 6 | OLS 공식 |
| 7 | 주요 용어 |
| 8 | 선형회귀모형의 가정과 OLS 추정량의 속성 |
| 9 | 정확도와 표준편차 |
| 10 | 교란항 분산의 추정 |
| 11 | OLS 계수추정량의 표준편차 추정 |
| 12 | 분산에 대한 불편추정량인 표본분산 |
| 13 | 수학부록 1 |
| 14 | 수학부록 2 |
| 15 | 가설검증의 개념 |
| 16 | OLS 추정량의 확률분포 |
| 17 | 유의성 검증 |
| 18 | 신뢰구간 검증 |
| 19 | 1종 오류와 2종 오류 |
| 20 | t-비율 검증 |
| 21 | p-value |
| 22 | 다중선형회귀모형 |
| 23 | 다중선형회귀모형 계수추정량 |
| 24 | 다중선형회귀모형 계수추정량 표준편차 |
| 25 | 다중 가설 검증: F-검증 |
| 26 | t-검증과 F-검증 비교 |
| 27 | F-검증의 제약 개수 계산 방법 |
| 28 | 적합도(Goodness of fit) 통계량: R-Square |
| 29 | 수정 R-Square |
| 30 | F-통계량과 R-Square 의 비교 |
| 31 | Non-nested 가설 검증 |
| 32 | 요소(factor) 모형과 주성분(principal component) 분석 |
| 33 | 모형점검검증(Regression diagnostic test) |
| 34 | 선형회귀모형 가정 1 |
| 35 | 선형회귀모형 가정 2: 등분산 가정 |
| 36 | 이분산성 검증1 Goldfeld-Quandt 검증 |
| 37 | 이분산성 검증2 White 검증 |
| 38 | 이분산성이 OLS 추정에 미치는 영향과 대책 |
| 39 | 선형회귀모형 가정 3: 교란항의 無자기상관 |
| 40 | Durbin-Watson 검증 |
| 41 | Breusch-Godfrey 검증 |
| 42 | 자기상관이 OLS 추정에 미치는 영향과 대책 |
| 43 | 동태모형의 필요성 |
| 44 | 시차변수 추가시 발생하는 문제점 |
| 45 | 장기 정태적 균형해 |
| 46 | 선형회귀모형 가정 4 |
| 47 | 선형회귀모형 가정 5 |
| 48 | 더미변수(Dummy variables) |
| 49 | 다중공선성의 정의와 측정 |
| 50 | 다중공선성의 문제점과 대책 |
| 51 | 함수 형태 선택 |
| 52 | 주요 변수 누락과 부적절한 변수 포함 |
| 53 | 계수 안정성 검증 |
| 54 | Chow 검증 |
| 55 | 더미변수를 이용한 Chow 검증 |
| 56 | 예측실패 검증 |
| 57 | 더미변수를 이용한 예측실패 검증 |
| 58 | 표본 분할 방법 1: 경험법칙에 의한 표본 분할 |
| 59 | 표본 분할 방법 2: QRL 검증과 반복회귀분석검증 |
| 60 | 계량 모형 설계 전략과 철학 |





상품평
아직 상품평이 없습니다.